푸른 하늘 은은하수~
자고로 은하수의 계절이 돌아오고 있다.
아직은 은하수가 늦게( 새벽녘)에 올라오지만 곧 날이 더 더워지고 하면
저녁밥 먹고 은하수를 보는 날도 금방 오겠지..
간단히 나의 은하수 촬영법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대단한 장비 없이 카메라와 렌즈, 삼각대 정도면 심플하게는 찍을 수 있겠지...
준비물 : 카메라(필수), 광각렌즈(필수), 삼각대(필수) , 릴리즈(옵션)
풀프레임 카메라 기준 광각렌즈는 14mm 정도를 추천한다. 24mm도 가능은 하겠지만, 뭔가 부족하고 답답한 느낌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먼저 촬영 시기를 알아봐야 하는데..
선호하는 날짜는 그믐날 기준 앞뒤로 4일 정도...
월별 천문현상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월별 천문현상에 대해 날짜, 음력날짜(월령), 일출몰시각, 월출몰시각, 일일천문 현상 및 천문소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UN MON TUE WED THU FRI SAT 01일 03월 09일 월령 8.1 화성과 토성 근접(0.9°) 05:00 상현 19:21 일출06:18 일몰18:55 월출11:08 월몰01:22 02일 03월 10일 월령 9.1 일출06:16 일몰18:56 월출12:05 월몰02:18 03일 예비군의 날,4·3 희생자 추념일 03월
astro.kasi.re.kr
위 사이트에섯 월별 천문현상을 확인해보면 대략적인 날짜가 나온다. 월몰 시간도 있어서 얼추 시간대도 계산할 수 있고..
그리고 광해가 없는 곳을 찾아가야하는데 마찬가지로 light pollution map을 활용해도 좋지만, 대부분 가는 곳만 가기 때문에 은하수 명소를 찾아가면 된다.
촬영 순서는 깔끔하다.
1. 촬영포인트에 도착한다.
2. starwalk2 app을 통해 은하수의 위치를 확인한다.
3. 삼각대를 놓고 카메라를 세팅한다.
세팅 조건은
- 조리개 최대개방
- iso : 1600 ~ 3200 (선호에 따라 조절, 나는 1600 정도..)
- 셔터스피드 : 15초~20초 (30초도 해봤는데... 별이 흐름...)
- 초점은 무한대
4. 릴리즈가 있으면 릴리즈로 촬영, 없으면 타이머 2초 세팅 후 촬영
주의 사항
-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므로 최소한의 불빛만 사용하기 (사용 안 하면 더 좋고..)
- 셔터스피드가 길기때문에 카메라 앞으로 돌아다니지 않기 (싸움 남)
- 괜히 레이져 쏜다고 주위 안 보고 플래시로 레이저 쏘지 않기 (쏠 경우 양해 구하기)
이렇게 촬영은 하면 되지만, 개인적인 생각은
멋지고 예쁜 은하수 찍는 것도 좋지만, 그 고요한 시간과 하늘의 별을 보는 게 더 좋다는 의견이다.
그리고 같은 구도로 사진 찍는게 지겹다면, 인터벌 촬영을 해서 타임랩스를 만들어보는 것도 나중에
생각지도 못한 결과물을 얻게 해 준다. (추천)
그리고 그 동안 커피를 내려 마셔도 되고, 음악을 들어도 되고... 시간을 즐기길 바란다.
그리고 은하수 촬영은 촬영도 촬영이지만, 후에 보정을 하는게 더 일이다.
촬영이야 찍으면 되지만, 흐릿한 은하수를 예쁘고 멋지게 표현하기 위해선 라이트룸이나 포토샵 등으로 후보정을 해야 하는데 이는 개인마다 조금씩 방법이 달라서 유튭에 검색해서 확인하시길...
아래 사진은 참고용... 촬영 위치는 다르지만, 보정 전과 후가 다른 사진이 인물사진과 은하수 사진이란걸 말해주고 싶었다..(응..?)
'아무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만의 이야기 (0) | 2022.04.07 |
---|---|
[기상정보] 일기 예보 사이트 windy 소개 (0) | 2020.08.14 |
왜 우리 도서관은 모바일 회원증이 없나..? (1) | 2020.02.20 |
청약홈에서 청약 가점 계산해보기 (0) | 2020.02.04 |
자동차세는 위택스에서! (0) | 2020.01.07 |